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정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8단계 - 자아통합 대 절망)

by 이피엘통 2023. 6. 2.
반응형

8단계 - 자아통합 대 절망 (ego integrity vs. despair), 65세 이후

오늘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8단계 시리즈 중, 마지막 여덟번째 시간(자아통합 대 절망)입니다. 

에릭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 1902년 6월 15일 ~ 1994년 5월 12일)


심리학자 에릭 에릭슨(Erik Homburger Erikson)은 아이들의 나이에 따라 단계가 나눠지고 단계에 따라 주어지는 과제를 평생에 걸쳐 수행하게 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에릭슨은 이 과제가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에 따라 개인의 발달 정도를 알 수 있고 주어진 과제를 잘 수행하지 못했을 때에는 발달단계에 결함이 생기게 된다고 했는데요. 

각 나이와 단계에 맞는 과제를 잘 달성했을 때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가 수월하지만 만약 한 부분에서라도 문제가 생기게 되면 제대로 된 과제 달성에 실패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가 어렵고 넘어가더라도 그 단계를 제대로 달성시키기가 어렵다고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들이 각 시기에 맞는 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아이들의 발달 단계 중 마지막 여덟 번째 단계인 8단계 - 자아통합 대 절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5세 이후 시기는 노년기로서 자아통합과 절망이 형성되는 시기입니다. 인간의 일생에서의 마지막 시기이자 지금까지 살아왔던 모든 것, 삶과 화해를 하는 시기이기도하고,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를 하며 처음으로 돌아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절망으로 인생을 마무리하게 되는 행동


1. 그래도 그렇지 어떻게 그럴 수 있니?라고 말하며 끝까지 화해하지 못하고 후회, 원망하는 것

2. 죽음을 앞두고 두려워하는 것


노년이 되어 자아통합을 이루기 위해 해야 할 행동


1. 다른 사람들에게 위로의 말, 감사의 말 하기

- 수고했다. 잘했다. 고생했다, 애썼다. 고마웠다 말을 많이 해야 한다. 

- '미안하다'라는 말은 상대방이 나로 피해를 당했다고 느껴지게 만들기 때문에 '미안하다' 보다는 '고맙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2. 용서 구하고 화해하기

- 죽기 전, 적대자와 만나 화해를 해야 죽어도 여한이 없다. 한이 맺히지 않고 흐르는 상태로 죽어야 절망하지 않는다.

3. 스스로에게 위로의 말 해주기

- 살다 보니 별일이 다 있지? , 여기까지 오느라고 얼마나 힘들었어. 남몰래 많이 울었구나, 정말 고생했다 와 같이 남에게 받지 못한 말, 위로의 말을 스스로에게 해주어야 한다. 


인생의 마무리 처방전


1. 자신을 비하하지 않기

- 자기를 비하하면 남도 나를 비하한다.

2. 남의 시선과 평가에 나의 행불행 맡기지 않기

3. 어설프게 착한척하지 않기

- 착한 척은 내가 약하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어설프게 착한 척을 하는 사람들은 본인보다 약한 사람들에게 욱하는 성질이 있다. 상대방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하며 어설프게 착한척하지 말자.

4. 좋아하는 것 하기

5. 완벽주의 성향 버리기

- 사람은 원래 불안정한 존재이고 그건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으려 하는 것은 교만한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