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혜택2

2023년 사회복지현장에서 달라지는 혜택(3) 사회복지현장에 있다보면 매년 사회복지제도가 많이 바뀌고 있다는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중에서 아동양육과 문화, 에너지와 관련된 부분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부모급여 부모급여는 만 0세와 만1세 아동을 둔 부모에게 지급하는 급여입니다. 아동이 0세라면 월 70만원, 아동이 1세라면 월 35만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만약 만 0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어린이집 보육료 51만4000원을 차감해서 한달에 18만6000원을 부모급여로 받을 수 있고만 1세가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따로 받는 부모급여는 없습니다. 2) 문화누리카드 지원 정부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문화예술, 여행, 체육활동 등을 잘 할 수 있도록 통합문화이용권, 즉 문화누리카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의 경우에는.. 2023. 3. 15.
2023년도 사회복지현장에서 달라지는 혜택들(2) 사회복지현장에 있다보면 매년 사회복지제도가 많이 바뀌고 있다는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 중에서 의료비와 주거 및 장애연금과 관련된 부분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재난적 의료비 지원 재난적의료비는 의료비가 너무 많이 나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그래서 소득 하위 50% 국민의 본인 부담 의료비를 소득 수준에 따라서 일정 비율(50~80%)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의 재산 기준 완화 정부는 기초수급자를 선정할 때 소득과 재산이 얼마나 되는지 조사를 하는데, 2023년부터는 재산 기준을 완화되었습니다. 그래서 기본재산공제액, 재산범위특례액, 주거용재산한도액 모두 2022년보다 금액을 늘렸습니다. 3) 주거안전 정부는 쪽방이나 반지하 같이 .. 2023.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