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교육심리학을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고, 익숙한 이름이죠. 본인의 내면을 통찰하고,
현재 부적응적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되는 무의식적 갈등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각광받는 이론이 정신분석 이론입니다.
정신분석이론은 프로이트, 융, 아들러, 랭크 등이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그중에서 초기 정신분석 이론을 집대성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론을 총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이번 시간에는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발달되는 심리성적 발달단계중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발달단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심리성적 발달단계
고전적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인간 행동의 골격은 무의식적 동기와 생물학적 욕구 및 충동, 그리고 생후 약 5년간의 생활경험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집단상담에서도 유년기 및 아동기의 경험에 그 뿌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미해결 된 무의식적 갈등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정신분석 상담이론의 성격발달단계는 아동 초기의 성적 욕구에 따라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로 구분됩니다.
아동기 이후에는 뚜렷한 심리성적 욕구가 나타나지 않아서 잠복기라 설명하고, 제2차 성징의 변화가일어난 사춘기 이후의 청소년기는 생식기로서 아동기의 심리성적 욕구와 다른 성적 욕구와 생식능력을 갖게 됩니다.
가. 구강기
구강기는 생후 1년 동안 성 본능이 입(구강) 주위에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유아들은 흡입하기, 씹기, 깨물기 등의 구강활동을 통해 쾌감을 얻는데, 특히 수유 활동은 이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가령, 갑작스럽게 또는 너무 일찍 젖을 떼거나 이와 반대로 너무 늦게까지 수유를 함으로써 욕구가 심하게 좌절되거나 지나치게 충족되면 구강기적 성 본능에 고착한 성격적 특성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강기적 성격은 타인이나 배우자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탐욕적이고 지나치게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과식, 과음, 지나친 흡연, 수다, 험담과 비난, 그리고 논쟁을 즐기는 것도 구강기적 특성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나. 항문기
항문기에는 성 본능이 구강(입)에서 항문주위로 옮겨지게 됩니다. 아동들은 배설물을 보유하며 긴장을 경험하면서 동시에 적합한 장소에서 배설함으로써 안도와 쾌감을 경험하죠.
아동이 배설물을 보유하고 배출하는 것은 항문의 수축과 이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괄약근이 성숙해야만 가능합니다.
아동은 배설하기 적당한 때와 장소에 이르기까지 배설물을 보유하기 위해 괄약근을 수축(긴장) 한 후 이완(배설)함으로써 쾌감과 만족을 얻습니다.
자발적인 배변과 배뇨를 위한 배변 훈련은 괄약근의 성숙과 함께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와 같은 긴장과 이완을 통해 아동은 항문기적 쾌감(성적 욕구 충족)을 얻을 뿐 아니라 사회적 요구에 따름으로써 사회적 인정도 함께 얻게 됩니다.
그런데 지나치게 엄격한 배변 훈련을 받은 아동들은 괄약근의 수축에 고착함으로써 강박적인 항문기적 성격을 형성할 수도 있습니다.
배설물의 보유에 고착하는 특성이 반영된 강박적인 항문기적 성격은 청결이나 질서에 대한 지나친 욕구, 인색함, 고집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와 반대로 배변훈련이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지지 않아 이완(배설) 쾌감에 고착하게 되면 자제력이 없고 분노가 많은 항문기적 성격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배변 훈련을 통해 아동들은 사회적 요구와 규범, 그리고 타인의 기대와 요구를 고려하게 되어 즉각적인 욕구 만족을 지연하는 등의 자기 통제능력을 학습합니다.
아동들은 적절한 배변 훈련을 통해 스스로 배변과 배뇨를 통제함으로써 자율성과 자존감을 갖게 됩니다.
다. 남근기
남근기는 3-5세 아동들의 성적 본능이 성기 부위로 집중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아동들은 남녀의 신체 구조적 차이를 발견하고 남자와 여자의 성을 인식하면서 이성 부모에게 연정을 느끼고 동성 부모에게는 적대적 감정을 갖게 됩니다.
이것을 남아의 경우,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고 하고 여아의 경우, 엘렉트라 콤플렉스라고 합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그리스 신화 ‘오이디푸스 왕’에서 유래되었는데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이디푸스의 아버지 ‘라이우스’는 아들이 자신을 죽일 것이라는 불길한 예언 때문에 갓 태어난 오이디푸스를 죽도록 내버려 뒀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구조되어 다른 도시에서 양부모에 의해 잘 성장한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를 죽이고 엄마와 결혼할 운명이라는 자신에 대한 예언을 듣고 집을 떠나게 됩니다.
양부모를 친부모로 알고 집을 떠난 오이디푸스는 도중에 라이우스(친아버지)를 만나 싸우다 그를 죽이게 되고,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어 저주받은 그의 고향인 테베를 해방시킵니다.
이에 대한 보상으로 라이우스의 아내이며 오이디푸스의 친어머니인 조카스타와 결혼합니다.
남아는 엄마를 애정의 대상으로 여기고 반대로 경쟁자인 아버지에 대해 적대감을 갖게 되지만, 거세불안에 직면한 남아는 엄마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고 아버지에 대한 적대감을 숨기는 대신에 아버지를 동일시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결합니다.
즉 모든 면에서 자신보다 월등한 아버지와 경쟁하기보다 동일한 사람이 됨(동일시)으로써 열등한 자신을 보상하고 동시에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한편 여아의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만큼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지 않지만,
엘렉트라가 남동생을 통해 어머니와 어머니의 정부를 죽이고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는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여아는 자신에게 남근이 없음을 발견하고 남근에 대해 부러워하는 ‘남근 선망’을 갖습니다.
여아는 남근이 없는 것에 대한 원망을 동성인 엄마에게 돌리고 엄마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며 아버지에 대해서는 애착과 사랑을 키워갑니다.
그러나 여아는 남근이 회복될 수 없으며 아버지에 대한 애정 욕구도 충족시킬 수 없음을 알게 되고, 결국 엄마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합니다.
이렇게 갈등을 극복하고 욕구충족을 하려는 동일시 과정을 통해 아동들은 부모의 가치 규범, 도덕을 내면화하고 초자아를 발달시키게 됩니다. 이것은 자녀가 부모를 닮을 수밖에 없는 중요한 이유가 됩니다.
'사회복지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성격 발달에 주요한 3가지 의식 수준 (0) | 2023.04.10 |
---|---|
프로이트(Freud) 심리성적 발달 단계(2) (0) | 2023.03.31 |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의사결정 과정 딜레마(2) (0) | 2023.03.23 |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1) (0) | 2023.03.21 |
2023년 사회복지현장에서 달라지는 혜택(3) (0) | 2023.03.15 |
댓글